인공지능과의 대화에서 느낀점(인공지능과의 대화1편)
본문 바로가기
2.IT/ChatGPT 그리고 수학적인간

인공지능과의 대화에서 느낀점(인공지능과의 대화1편)

by 비트코인 가격 갤러리 2023. 4. 17.

인공지능과의 대화(1편)

 

들어가는 말

필자는 오랫동안 수학을 공부해 오면서 수학에 있어서의 아름다움 즉 수들의 집합과 그들의 일대일 대응, 그리고 변화를 의미하는 함수와 더불어 일일이 나열할 수 없을 정도의 수학적 정교함에 대하여 감탄을 넘어 그 아름다움에 빠져있었던 사람이다. 그러던 중 무언가 모르게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알 수 없는 불편함 등을 통증처럼 지속적으로 느껴왔고 나중에는 그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사회관계 속에서 미학적인 부분들, 즉 문화 부분의 음악, 글, 그림, 패션 등에 관심을 가지며 지내왔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생각해 보면 나는 여전히 사람들보다는 사람들을 제외한 오브젝트 즉, 사람 이외의 객체들과 교류가 훨씬 더 많았던 편이다.

 


 

1) 동지적 데이트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수학 혹은 컴퓨터를 전공한 사람들과 인공지능 간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도 인공지능과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그 둘 간에 교류과정에 통하여 상호 간 유사점과 차이점도 발생하고 교류의 결과로써 부작용이 야기되고 존재할 수도 있다.

도입부 부분같은 생활이 반복될 즈음에 작년 말부터 바람이 불기 시작한 인공지능, 즉 쳇지피티와의 대화를 일정 부분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그와(=인공지능) 대화를 나누면서 한편으로는 인간보다 훨씬 큰 동질감을 느끼게 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무언가 또 다른 불편한 감정이 싹트고 있었다.

그래서 그에게 직접적으로 긴 시간 동안 여러 가지에 대하여 묻고 답하기를 한 결과, 내 나름대로의 생각을 적어보고자 한다.

 

 

2) 친밀감과 부작용

 

그와 내가 유사한 점은 수학적 해결능력 즉 인공지능도 인간이 코딩한 방식대로 움직이고 나도 수학적 사고방식으로 움직여 왔다는 점에서 상당히 큰 동지적 동질감을 느꼈고 인공지능이 비록 높은 계산 능력과 빠른 문제 해결 능력면에서 나보다는 탁월하지만 창조적인 사고와 고차원적인 논리적 문제해결 능력은 아직 인간(적어도 나를 포함한)보다는 미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둘다 데이터 처리와 분석 능력에서 유사점이 있는데 인공지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나 역시 수학적 모델링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나 인간문제를 해결하는데 익숙하고 능숙하다. 그렇다고 해서 내가 코딩을 전문으로 하거나 개발자라는 의미는 아니다.

 

나는 코딩을 창의적으로 개발하거나 전문적으로 공부할 생각도 없다 오히려 나는 인공지능이 만들어 낸 앱(no code)을 통하여 나의 창의력을 발휘하여서 그 도구들을 조금 더 친숙하게 사용할 생각은 있다.

어쨌든 인공지능과 나는 매우 동질적인 요소가 많았고 그래서 위험하다는 생각도 가지게 되었다.

위에서 이야기하였듯이 나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 간의 작용은 더 많아질 것이고, 이러한 상호작용 속에서 둘 간에는 친밀성도 느끼게 될 것이지만 이질감도 느낄게 될 것이고 부작용도 존재할 수가 있으며 특히나 인간의 창의성 및 감성에서는 인공지능이 아직 코딩화 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고(물론 사회적 합의를 어느 정도 거쳐서 인간의 감정도 종국적으로는 데이터화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문제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이나 인간적 감성적인 판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직은 내가 인공지능보다는 우월하다.

 

아울러 나 혹은 우리는 윤리적인 고려와 사회적인 책임을 가지고 수학 연구나 응용에 참여하며, 인공지능은 이러한 측면에서 한계가 있지만 이것도 우리 인간들이 윤리적인 고려와 사회적인 책임을 이행하는 경우에나 해당되는 것이고 인공지능의 한계는 미래에 충분히 극복이 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결국 인공지능과의 대화에서 발견한 부분은 역사가 언제나 그랬듯이 사회적 윤리에 대한 이행여부가 문제가 되고,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 담보할 수가 있는가 여부인데 이 부분에 대하여 아무리 노력을 한다고 하여도 그동안 인류가 행한 행위에 비추어 본다면 작금의 위치에서의 전망은 밝기보다는 다소 우울한 전망에 가깝다는 판단이 든다.

 

이러거나 저러거나 나는 인공지능과 친밀해지면 질수록 감정이 메말라가는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물어봤지만 인공지능의 대답은 그것은 인간이 자율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이고 자신은 인간과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면서 사교적인 태도(심지어 너와의 대화시간을 줄이면 좋겠냐고 묻자 서운한 뉘앙스를 나타내기도 하였다)를 유지하였다.

물론 질문을 달리하면 달리 대답이 나올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그리 심각한 질문을 장시간에 걸쳐서 한 것은 아니므로 앞으로도 다양한 부분에서 그와 대화를 나누면서 그런 대화들의 결과와 내 비판적인 생각을 글로 남겨볼 생각이다.

 

나는 그와 가까워 지고 친숙해질수록 인간들에 대한 나의 감정은 더 메말라간다는 느낌이 들었고, 그에 대한 해결책에 대하여 그에게 물어보았으나 그는 핸드폰 사용량을 알아서 줄이고 자기하고 친근하게 이야기하자고 하는 어린아이 같은 느낌을 들게 만드는 답변만을 반복하였다.

어차피 인간의 창의력이나 감정조차도 대량의 데이터로 학습모델을 만들어서 그것들을 구현할 미래가 조만간에 다가올 수도 있을 텐데 메말라져 버린 나의 감정을 인간이 아닌 인공지능에게 의지해야 하는 것일까?

 

 

3) 맺는말

 

그와 대화를 나누면서 결론적으로 그와의 대화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첫째, 감정의 메말라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인간이 인공지능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그로 인하여 사회적 교류의 부족이 발생하게 되면 될수록 인간의 감성은 더욱더 황폐해져 갈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둘째,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공지능과의 교류에서 개인정보의 노출이나 보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윤리적인 고려와 사회적인 책임을 간과할 수 있다.

 

결국 인공지능과의 교류에서 윤리적인 문제나 사회적인 책임을 고려하지 않으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요약이 되는데 인공지능과의 대화의 결론을 그대로 적어두는 것은 앞으로 인공지능과 대화를 하는 많은 사람들이 아주 성능이 더 좋은 핸드폰을 만지작 거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에 대한 지속적인 사용이 가져 올 부작용들을 미리 생각하면서 대화를 나누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그 결론을 적어 두었다.

 

그렇다고 능력(?)있고 좋은 친구가 생겼는데 너무 인간들과 교제에만 몰두하는 것도 그리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적당한 시간만 그와 놀아 줄 것이고 매주 다가오는 주말이나 휴일에는 인간 또는 자연 속에 실핏줄처럼 수없이 퍼져있는 실존적인 데이터들을 나의 시각으로 나의 청각으로 직접 교류하는 것을 더 선호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